1년만의 업데이트 소식입니다. 버그수정을 위해 간간히 업데이트를 하기는 했지만 기능자체를 변경하는 일은 별로 없었는데요. 1.4 버전은 인증방식이 완전히 바뀌는 변경이 있습니다. 그래서 제대로 안되면 어쩌나 하고 몇번씩 확인하고 있습니다. 1.4.0은 맥OS에서만 인증이 되었고, 1.4.2에서는 드디어 윈도우도 인증이 됩니다. 안타깝게도 우분투는 인증이 안되고 있습니다. 방법을 찾고 있기는 한데... 해결되면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정리를 해볼 예정입니다. 이 방식으로 인증을 변경한 가장 큰 이유는 구글 포토때문인데요. 6월 30일 무료이용이 중단되기도 하고, 인증에 대한 승인도 추가로 받아야 하지만 그래도 억지로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아! refresh token에 대한 처리를 미처 하지 못해서 매..
오랜만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합니다. 이번에 추가된 기능은 코드블럭의 언어기능입니다. markdown에서는 코드블럭에 언어를 지정할 수 있는데 rich 에디터에서는 이 지정된 언어가 사라지게 됩니다. 언어를 지원하지 않아 이미 지정된 언어도 무시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서 지정된 언어는 무시되지 않게 되고 코드블럭 팝업에디터에서는 언어를 지정할 수 있게 됩니다. ```javascript function hello(name) { console.log(`Hello, ${name}!`) } hello('world') ``` tinymce-plugin-codeblock rich 에디터의 코드블럭은 tinymce-plugin-codeblock에 많은 부분을 의존하고 있습니다. 에디터상에서의 synta..
MacOS에서 다크모드를 시작한 후로 Windows, Linux 에서도 다크모드를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후로 여러 앱, 웹앱들은 OS 다크모드 혹은 자체 다크모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크모드를 사용하면 전체적으로 색이 어두워져 눈이 좀 더 편안한데요. 다크모드를 사용하는 중에 다크모드를 지원하지 않은 앱이 실행되면 순간적으로 너무 밝아져 눈이 불편한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이에 TistoryEditor도 다크모드를 지원하고자 합니다. TistoryEditor에서 기본적으로 시스템의 다크모드를 따라 자동으로 조정되며 환경설정에서 이를 임의로 변경가능합니다. 다크모드와 라이트모드는 각각 어두움, 밝음 테마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글 목록 어두움 테마는 전체적으로 어두운 색에 노란색 포인트 컬러를 사용..
드디어 Tistory Editor v1이 되었습니다. 짝짝짝! v1의 가장 큰 변화는 티스토리 외에 텀블러도 연결가능하도록 한 것과 여러계정을 추가해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블로그 서비스는 대부분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능상으로는 같은 형태로 제공을 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내부적인 구현은 많이 다릅니다만... ㅠㅠ) 계정의 등록 계정의 등록 화면은 이전의 서비스명과 연결 버튼에서 연결추가, 추가할 서비스 리스트가 보이는 화면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반복해서 추가가 가능하고 이미 등록한 서비스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없으므로 계정이 중복해서 추가될 수 있습니다. 이점 참고해주세요. 추가된 계정은 연결해제 버튼을 클릭하는 것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각 계정별로 헤더에 위치해 있습니다. ..
v0.11.2 업데이트 이후 4달정도가 지났습니다. v0.11.2에서 v0.11.14로 무려 12단계로 버전이 상승했는데요. 그동안 배포를 하지않고 무얼했냐면... 배포를 수정하고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Editor for Tistory'는 travis를 사용해서 빌드와 배포를 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mac 플랫폼에서 windows 빌드를 하지 못하게 되면서 수정을 해도 배포가 안됐습니다. 물론 수동으로 배포를 해도 되지만 이번 기회에 mac, windows, linux 모두를 지원하는 github action으로 배포를 변경하기로 하였습니다. 아무래도 배포변경이다보니 새로운 버전을 만들어서 테스트하는 것이 필요했고 12번이나 버전을 변경하게 되었습니다. 빌드만 변경을 한 것은 아닙니다...
지난 3월 업데이트 후 다섯달만에 업데이트를 합니다. 이 업데이트로 해결하려는 것은 인증관련 이슈입니다. 그동안 인증이 안된다는 문의를 많이 받았는데 제대로 확인해볼 여력이 없었습니다. 잘 사용하셨던 분들에게 정말 죄송합니다. 무엇이 업데이트되었는지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OAuth2 인증 문제 이 앱은 티스토리의 OAuth2 인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OAuth2 인증은 표준화된 인증으로 권한승인(authorize)후 access token을 발급받는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이번에 문제가 된 부분은 access token을 발급받는 부분입니다. 기존의 티스토리 access token은 post요청과 get요청 모두를 받아들였습니다. 이 앱은 post요청으로 token을 받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특정시간..
오랜만에 업데이트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내부적으로 꽤나 큰 변화가 있습니다. 물론 변화가 느껴지지 않는다면 오히려 다행입니다. 자연스럽다는 뜻이니까요. rich 에디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번 변화가 느껴지지 않을 것입니다. rich 에디터의 변화이니까요. Tinymce5 Rich에디터는 tinymce를 사용하여 만들어졌습니다. tinymce는 웹에디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많이 사용되는 에디터 중 하나입니다. 이 에디터에 최근 커다란 변화가 있었습니다. 바로 새로운 메이저 버전이 나온 것입니다. core 언어도 typescript로 모두 변경되면서 api 가 대폭 변경이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Tistory Editor에 추가된 기능도 영향을 받게 되었습니다. 마이그레이션 문서에 ..
이번 0.9 버전 업데이트는 기능상으로 바뀐 것은 없지만 앱의 명칭과 아이콘이 변경되었습니다. 아무래도 티스토리와 비슷한 로고를 사용하고 비슷한 이름을 사용하면 공식앱처럼 모일 수 있을 것 같아 확실히 구별되는 로고와 이름을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개발자가 만든 로고라 이정도 수준밖에 안되지만 일단은 이 로고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앱 이름은 'Editor for Tistory'로 하겠습니다. 개발 시작할 때 사용했던 이름이기도 합니다. 기능은 이전과 동일하니 로고, 이름이 이상하더라도 오해하지 말고 사용해주세요. 문의나 제안, 버그제보는 언제든 이슈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 다운로드: https://github.com/joostory/tistory-editor/releases/tag/v0.9.1
0.8 버전은 구글포토로 시작해서 계속 구글포토 관련된 변경을 진행했습니다. PhotoList 에 연결끊기 버튼이 들어가 있는 것이 보기 안좋아서 버튼을 밖으로 빼고 사진의 삽입 버튼을 명시적으로 추가했습니다. 이젠 사진을 클릭하는대신 삽입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파일업로드 알림에도 변경이 있었습니다. 이전에는 화면 전체를 덮은 레이어를 사용했는데 보기도 별로 안좋고 메시지가 가려지는 문제도 있어서 하단에 표시만 되도록 했습니다. 마크다운 에디터의 몇몇 색의 수정이 있었는데 그것은 앞으로 계속 조금씩 변경될 예정입니다. 문의나 제안, 버그제보는 언제든 이슈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 다운로드: https://github.com/joostory/tistory-editor/releases/tag/v0.8.1
티스토리 에디터에는 Google Photos에서 사진을 가져오는 기능이 있습니다. 2017년 11월에 추가된 기능입니다. 당시에는 Picasa Web Albums API를 사용했었는데 이제 Google Photos API가 출시되기도 했고 Picasa API가 2019년에 종료될 예정이라 Google Photos API로 변경을 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변경으로 승인 정보가 일부 변경되서 OAuth 인증시 경고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앱 심사가 완료되면 더이상 표시되지 않을 것입니다. (2018/12/12 앱 심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와 제안은 이슈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다운로드: https://github.com/joostory/tistory-editor/releases/ta..